여행

문경 봉암사

로제로제 2017. 2. 2. 04:45


문경 봉암사


희양산 봉암사(曦陽山 鳳巖寺) 일주문(一柱門)

소재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1년에 단 한 번만 개방하는 사찰


문경 봉암사 일주문은 안쪽에서 보면 "봉황문(鳳凰門)"이라고 씌어 있습니다.


일주문을 조금 지나면 큰 바위에 한자로 "南無阿彌陀佛"이라고 쓰고 그 밑에 한글로 "남무아미타불"이라고 써 놓았지만, 일반적으로는 "나무아미타불"이라고 읽습니다.


문경 봉암사는 선찰(禪刹)로 수행 스님들의 요람이어서 평소에는 일반인에게 개방하지 않고 1년에 단 한 번 초파일(석가탄신일)에만 산문(山門)을 엽니다.

(이 날은 특별히 240여 명의 신도들에게 단체 참배를 허락하였습니다.)


저 멀리 백두대간 희양산(曦陽山) 봉우리(높이999m)가 보입니다.


희양산 산정에는 40m 정도의 벼랑을 이룬 암봉에 다섯줄이 파여져 있는데 이것은 명나라의 이여송(李如松)이 조선의 흥기(興起)를 막기 위하여 칼로 혈도(穴道)를 끊은 것이라는 전설이 얽혀 있다.

 

또한 봉암사의 용바위에서는 가뭄이 계속될 때 기우제(祈雨祭)가 행하여졌는데, 특이한 것은 삶은 돼지머리로 지내지 않고 산 돼지를 몰고 올라가서 바위 위에서 찔러 피를 흘리게 하여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용(龍)이 피 묻는 것이 싫어서 비를 내린다는 속신(俗信)에서 유래한다.


사진 왼쪽 건물 안에는 보물 제172호봉암사정진대사탑비가 있습니다.


희양산 봉암사 주변 전 지역은 "산림유전자원 보호법"에 의한 생태 특별보전지역이므로 허가 없이 출입 시에는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합니다.

(산림청장. 문경시장. 봉암사주지 명의)


침류교(枕流橋)

스님들이 내방객들을 위하여 눈을 치워 놓았네요.


남훈루(南薰樓)

문경 봉암사 경내는 핸드폰 불통지역입니다.

 

대웅보전(大雄寶殿) 앞에서 본 남훈루(南薰樓)


해회루(海會樓)

아래층은 종무소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선열당(禪悅堂)

선열당 아래층은 공양간입니다.

문경 봉암사에는 현재 100여 명의 스님들이 동안거 수행정진 중입니다.



봉암사(鳳巖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신라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희양산파의 종찰(宗刹)로서, 879년(신라 헌강왕 5년) 당나라에서 귀국한 지선(智詵:智證國師)이 창건한 이래 현재까지 선도량(禪道場)으로 일관해 온 선찰(禪刹)이다.


881년 나라에서 봉암사라는 이름을 내렸다.

그리고 조선 초기에는 기화(己和)가 1431년(세종 13년)에 절을 중수한 뒤 오랫동안 머물면서 『금강경오가해설의(金剛經五家解說宜)』를 저술하였다.

1674년(현종 15년) 화재로 소실된 뒤 신화(信和)가 중건하였고, 1703년(숙종 29년) 불전과 승료가 불탔으나 바로 중건하였다.

1915년에는 세욱(世煜)이 다시 퇴락한 당우를 중건하였으며, 1927년 지증국사의 비각(碑閣)과 익랑(翼廊)을 세웠다.


백두대간 희양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문경 봉암사




봉암사 대웅보전(大雄寶殿)

조계종 종립특별선원 희양산 봉암사


대웅보전 3존불

법당 내부에는 석가모니좌불상을 주불로 모시고, 관음보살입상과 대세지보살입상을 협시불로 모셨으며, 화려한 후불목각탱을 안치하고 있습니다.


대웅보전 내부 모습


대웅보전 문창살


금색전(金色殿)은 뒷면에는 "대웅전(大雄殿)"이라고 쓴 편액이 붙어 있습니다.

현재의 대웅보전(大雄寶殿)을 짓기 전에 대웅전으로 쓰던 건물인데 금색전(金色殿)으로 명칭을 바꾸었기 때문입니다.

금색전(金色殿) 내부의 비로자나불


금색전(金色殿) 내부 모습


봉암사 3층 석탑 - 보물 제169호

9세기 통일신라 헌덕왕(재위 809~826)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탑은 지선(智詵:智證國師)이 세운 것이라고 전해진다.

기단구조에서 특이함을 보이며, 상륜부가 온전하여 주목되는 탑이다.


문경 봉암사 극락전(極樂殿) - 보물 제1574호 (2008년 9월 3일 지정)

신라 경순왕이 한때 피신한 것으로 전해지는 극락전. 

건물의 가구방법(架構方法)이 이채롭고 꼭대기에 석탑 상륜부의 모양으로 보주(寶珠)를 얹고 있음이 특이합니다.

여기 봉암사는 6.25동란 때 극락전과 일주문을 제외하고는 전부 불타 없어진 것을 후에 다시 지은 것입니다.  


범종각(梵鐘閣)


조사전(祖師殿)과 내부 모습


조계사 신도국장 일규스님의 인사말씀


스님들의 발우(공양 그릇)


점심 공양


봉암사 마애불 가는 길




문경 봉암사 마애불좌상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1호


산신각(山神閣)과 내부 모습


오른쪽은 전나무숲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왼쪽)와 적조탑(오른쪽)

국보 제315호(2009년 12월 31일 지정) -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鳳巖寺 智證大師 寂照塔碑)

보물 제137호 - 지선의 사리부도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鳳巖寺 智證大師 寂照塔) 












있는 그대로 보고 살면

행복할 것을...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대산 월정사 [2]편  (0) 2017.03.07
김제 금산사  (0) 2017.02.25
부안 내소사  (0) 2017.01.17
남해읍 정경(情景)  (0) 2016.11.26
남해 보리암  (0) 2016.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