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

문화가 있는 날

로제로제 2017. 3. 29. 23:03


문화가 있는 날


돈화문(敦化門)

창덕궁의 정문(正門)이며 보물 제383호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 건물이다.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과 함께 조선 중기에 세워진 창덕궁의 정문으로 중요시된다.

 1412년(태종 12년)에 창건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8년(광해군 즉위년)에 창덕궁이 복구되면서 문도 함께 세워졌다. 현재의 건물은 이때 세워진 것이다.


창덕궁 매화


3월29일 문화가 있는 날

옥이언니, 햇님동생, 은미동생




미선나무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 입니다. 


영춘화


미선나무


 인정전(仁政殿)의 "인정(仁政)"은 "어진 정치"라는 뜻이겠지요?


창덕궁의 홍매


진달래




홍매






다믐 주엔 홍매가 다 피겠지요?


낙선재(樂善齋)


낙선재 뒷뜰


창경궁 미선나무


창경궁 통명전

임금과 중전의 침소인 통명전은 하늘과 통하는 임금이기에 용마루가 없음 


창경궁 생강나무


창경궁 춘당지


춘당지 원앙새


히어리

창경궁 대온실은 보수공사 중


홍천초


명자나무


긴기아남난, 흰진달래, 백랑금 등


야외식물원 관동화 (국화과)


동강할미꽃, 관동화 등


청노루귀


복수초, 동백꽃, 동강할미꽃, 민들레꽃


히어리


채식부페 : 옥이언니

점심 잘 먹었어요.


목련꽃

점심먹고 조계사에서 삼배하고...



경복궁으로...


경복궁


경복궁 근정전(景福宮 勤政殿) - 국보 제223호 (국보 지정일: 1985년 1월 8일)


개나리꽃


경복궁 할미꽃


경복궁 향원정(景福宮 香遠亭) - 보물 제1761호 (보물 지정일: 2012년 3월 2일) 


경복궁 내의 향원정

경복궁 향원정 (景福宮 香遠亭) - 보물 제1759호 (지정일: 2012년 3월 2일)

경복궁 향원정 (景福宮 香遠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향원정은 경복궁 북쪽 후원에 있는 향원지(香遠池) 안의 가운데 섬 위에 건립된 육각형의 정자이다

향원지의 ‘향원(香遠)’은 ‘향기가 멀리 간다’는 뜻으로 북송시대 학자 주돈(1017∼1073)이 지은 '애련설(愛蓮說)'에서 따온 말로서 왕이나 왕족들이 휴식하고 소요하던 침전의 후원으로 여기에는 향원지(香遠池)와 녹산(鹿山)등 원림(苑林)공간이 된다.



경회루

경복궁 경회루(景福宮 慶會樓) - 국보 제224호 (지정일: 1985년 1월 8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경복궁에 있는 조선 후기의 누각으로 정면 7칸, 측면 5칸의 중층(重層) 팔작지붕건물.

근정전 서북쪽에 있는 방형 연못 안에 세운 이 건물은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 연회를 베풀기 위한 곳이었다.

 

처음 지을 당시는 규모가 작은 누각이었으나 1412년(태종 12년)에 연못을 확장하고 큰 규모로 중건하였고, 1473년(성종 4년)·1474∼1475년·1506년(연산군 12)에 수리공사가 있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불타 버려 1867년(고종 4년)에 재건하였다.



경회루 연못가의 조그만 정자... 하향정(荷香亭)

경회루 연못가의 이 조그만 정자 하향정(荷香亭)은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세워진 것이 아니라, 1959년 고(故) 이승만 대통령이 영부인 프란체스카 여사와 함께 경회루 연못에서 휴식을 위한 낚시를 즐기려고 지은 정자입니다.

조선시대 마지막 대목장 고(故) 배희한 씨가 지었다고 합니다.



매화

"문화가 있는 날"에는 서울시내 고궁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아코디언 연주 - 이철옥



 모든 이에게 福이 가득하시길...


'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봉산 둘레길  (0) 2017.04.04
옥천암  (0) 2017.04.01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0) 2017.03.26
천마산 봉인사   (0) 2017.03.24
길상사의 봄   (0) 2017.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