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암 겨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玉泉庵 磨崖菩薩坐像) - 보물 제1820호 (2014년 3월 1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지문길 1-38 (홍은동, 옥천암) 시 기: 고려시대
이 불상은 옥천암 보도각 안 바위에 새겨진 마애좌상(磨崖坐像)이다.
불암(佛巖) 또는 ‘보도각 백불(普渡閣 白佛)’로도 일컫지만, 조선 말기부터 통칭하여 ‘백의관음상(白衣觀音像)’으로 부르고 있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한양에 도읍을 정할 때, 이 존상 앞에서 기원했으며 흥선대원군의 부인도 훗날 임금(고종)이 된 아들을 위해서 기도했다는 말이 전해 내려오는 서울의 이름난 불교 존상이다.
독립된 거대한 불암 바위 앞면에 5미터의 장대한 마애상을 새겼다.
그리고 이 위에 팔작지붕의 전실(前室)형 건물을 세워 마애상을 보호하고 있다.
존상은 머리에 고려 초기부터 유행하던 높은 보관을 쓰고 있는데, 뿔처럼 생긴 관대에는 시대적 특징을 보여주는 화려한 꽃무늬 수술 장식이 표현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지정등록일: 1973.06.07 )되었다가 2014년 3월 11일에 보물로 승격· 지정되었다.
옥천암 보도교
옥천암 산신각 복원불사 중
옥천암 산신각 복원 모연
문화재청과 서대문구청으로 부터 산신각 건립행위 허가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1920년 대의 대홍수,1950년에
일어난 전란 등으로 애석하게도 유실된 것으로 보이는 산신각 복원 불사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옥천암 극락전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그리고 오층석탑
옥천암 경내
소나무
옥천암 보도교 밑
옥천암 앞 개천의 백로와 오리
천년관음 기도도량 옥천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