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사찰음식 (수국사 편)

로제로제 2016. 5. 16. 01:40


수국사의 사찰음식


 쑥설기. 쑥개떡. 유부초밥. 유부근대국...


수국사에 핀 붓꽃



수국사(守國寺)

주소: 서울시 은평구 서오릉로 28길 8-5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이다.

 1459년(조선 세조5년) 세조의 명으로 창건되었다.

 1457년 8월에 세조의 큰아들 숭()이 죽자 덕종()으로 추존하고 넋을 위로하고자 절을 짓게 한 것이다.

 창건 당시에는 정인사()라 하였다.


 1471년(성종 2) 소혜왕후()가 명하여 판내시부 이효지()가 중창하였다.

 당시 화엄종의 설준()이 중창을 설계했는데, 단청이 뛰어나 봉선사()에 버금갔다고 한다.

 낙성법회는 석가탄신일에 열었고, 이 때 소혜왕후는 미곡 100섬과 전답·노비 등을 시주했고 성종도 이 절의 승려들에게 부역을 면제하라는 교지를 내렸다.

1900년 고종이 병환에 시달리는 태자를 위해 이 절의 거연에게 백일기도를 부탁하였다.

거연의 기도로 태자가 병에서 회복되자 고종이 재물을 하사하여 중창하였다.

 1950년 비구니 수경이 중창하였으며, 1981년부터 1992년까지 현도()가 절의 면모를 크게 바꿔 놓았다.

 1995년에는 한자용()이 황금보전을 세우고 봉산()자연공원을 조성하였다.

외부에 금칠한 건물로는 황금보전과 대웅전·관음전·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황금보전은 황금법당이라고도 하며 내부와을 했다.

 유물로는 수국사괘불이 유명하다.

 이 괘불은 1908년 철유()와 법조() 등이 제작한 것으로 가로 414cm, 세로 680cm이다.

 그밖에 대웅전 후불탱화와 신중탱화·십육성탱화현왕탱화 등의 불화가 전한다.

 이들 탱화는 1907년 왕실에서 후원하여 만든 것으로 연대는 오래되지 않았으나 작품으로서의 격조는 높은 편이다.

- 백과사전에서 -



대대적인 불사가 진행 중이므로 앞으로 수국사의 면모가 확연히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수국사의 주변 정비공사 계획 조감도


수국사의 매일초


황금사찰로도 유명한 수국사의 대웅전(법당)


살구


수국사의 미륵대불


초전법륜상과 수국


할미꽃




지장보살 상(像)


사과는 새와 개미의 좋은 먹이가 되고 있네요.



수국사의 사찰음식은 매주 화요일에 만들고 있어요.(3개월 코스)


이 음식사진은 "지우스님"께서 보내주신 사진입니다. 

"지우스님"께 감사드립니다.


쑥설기


쑥개떡


불가(佛家)에서 멀리하는 오신채 [五辛菜]

사찰음식에서 금지하는 다섯 가지의 채소인 파, 마늘, 달래, 부추, 흥거를 오신채(五辛菜)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동양 3국 (한국 · 중국 · 일본)에서는 구할 수 없는 채소인 흥거 대신에 양파를 금지하고 있다.



사찰에서는 오신채를 쓰지 않습니다.

오신채는 향이 강하고 자극적인 맛이 특징인데, 이는 정신을 자극시켜 수행에 방해가 된다.

날로 먹으면 성내는 마음을 일으키고, 익혀 먹으면 음심(淫心)을 일으켜 수행을 방해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찰음식에서는 오신채와 멸치 등의 육수를 대신하기 위해 다시마, 들깨, 방앗잎, 제피가루, 버섯 등이 사용된다 



봄나물 유부초밥


근대유부국


쑥설기. 쑥개떡. 유부초밥. 유부근대국...


야채비빔국수 - 절에서는 대부분의 스님들이 특히 국수를 좋아한다고 하네요.


국수를 사찰에서는 "승소(僧笑)"라고도 부릅니다.

"승소(僧笑)" 절에서 스님들이 워낙 국수를 좋아하여 국수만 보면 웃는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바삭하게 튀긴 저 속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두부조림 - 육식을 하지 못하는 사찰에서는 단백질 보충원으로 콩을 주재료로 한 음식이 많지요.


비빔국수와 두부조림


청포묵무침과 야채죽


연근샐러드 연근튀김


버섯완자 우엉조림 표고버섯국


죽과 두부조림


야채돌솥밥


호박맑은장국


수국사의 주변에 핀 작약꽃






작약꽃




 부초같은 인생 - 경음악


3소로 건강하게

웃음 소(笑)... 적을 소(少)... 푸성귀 소(蔬)...

즐겁게 먹고... 적게 먹고... 푸성귀 먹고...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을 보내다  (0) 2016.12.05
제61회 현충일  (0) 2016.06.06
정월의 세시풍속  (0) 2016.02.21
법당에서 법당으로  (0) 2016.02.15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0) 2016.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