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구례 화엄사(智異山 求禮 華嚴寺)
지리산 화엄사(智異山 華嚴寺)
주소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2009년 12월 21일 사적 제505호로 지정되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창건에 관한 상세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사적기(寺蹟記)에 따르면 544년(신라 진흥왕 5)에 인도 승려 연기(緣起)가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시대는 분명치 않으나 연기(煙氣)라는 승려가 세웠다고만 전하고 있다.
677년(신라 문무왕17)에는 의상대사(義湘大師)가 화엄10찰(華嚴十刹)을 불법 전파의 도량으로 삼으면서 이 화엄사를 중수하였다. 그리고 장육전(丈六殿)을 짓고 그 벽에 화엄경을 돌에 새긴 석경(石經)을 둘렀다고 하는데, 이때 비로소 화엄경 전래의 모태를 이루었다.
화엄사는 한국 33관음성지 중 제14호 사찰입니다.
배롱나무
화엄사 화엄원 템플스테이 수련관
돌항아리
벽암국일도선사비
화엄사 성보박물관에서는 "부처님의 옷을 짓다"는 주제로 가사 특별전을 펼치고 있다.
특히 이번 특별전에는 서산대사와 벽암대사의 가사를 특별 공개하고 있다. (9월 초까지 공개)
화엄사 성보박물관(聖寶博物館)
성보박물관 내부
백중 7월19일 입재일을 맞아 화엄사가 범음료에 가사도감을 설치하고 가사불사에 돌입했다.
이번 가사불사는 진제 종정예하를 비롯해 300여 화엄사대중에게 가사를 공양하는 대불사다.
지난5월 주지 덕문스님이 서임을 맡고 새롭게 시작하는 마음으로 발원한 원력이기도 하다.
이번 가사불사를 지도하는 한복 명장 박춘화 (대한민국 명장611호)씨는 "가사를 조성하는 이는 수행자와 같이 신심과 정성이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화엄석경 - 보물 제1040호
의상조사께서 현재의 각황전 자리에 장육전을 건립하고 그 사방벽에다 화엄경을 새김.
돌사자상
금강문(金剛門)
금강문에는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금강역사(金剛力士)가 있습니다.
금강역사는 인왕역사(仁王力士)라고도 부릅니다.
나라연금강
불법을 수호하는 신장입니다.
보현보살
보현보살은 석가모니불의 우협시보살로 진리의 광대행을 맡고 있으며, 행원의 실천을 나타내기 위하여 코끼리를 타고 있습니다.
밀적금강
금강저의 무기를 가지고 부처님을 수호하는 신장입니다.
문수보살
문수보살은 석가모니불의 좌협시보살로 지혜를 맡고 있으며, 위엄과 용맹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자를 타고 있습니다.
천왕문(天王門)
사천왕(四天王) - 사대천왕(四大天王)이라고도 함.
북방(北方)을 지키는 다문천왕(多聞天王) - 비파를 들고 있으며
동방(東方)을 지키는 지국천왕(持國天王) - 보검을 들고 있고
남방(南方)을 지키는 증장천왕(增長天王) - 용(龍)과 여의주를 들고 있으며
서방(西方)을 지키는 광목천왕(廣目天王) - 삼지창과 보탑(寶塔)을 들고 있다.
해탈이 냥이
만월당
청풍당
약수
보제루(普濟樓) - 유형문화재 제49호
화엄사는 보제루에도 특별함이 숨어 있다.
승려나 신도들이 집회용인 2층 누각 건물로 대개는 그 밑을 지나 대웅전으로 들어서게 되지만
화엄사의 보제루는 1층의 기둥 높이를 낮게 만들어 옆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다.
각황전 대웅전 대석단 등이 장엄하게 펼쳐지는 중심 영역의 경관을 강조하기 위한 배려로 보인다.
장식을 배제하고 단청도 하지 않아 절제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보제루 기둥
얼핏보면 기둥들이 춤을 추는 듯하다.
보제루 안쪽에 "화장"(華裝) 현판이 있다.
범종각(梵鍾閣)
성행당 (종무소)
동오층석탑 - 보물 제132호
신라, 백제의 양식이 혼합된 탑으로 꾸밈이 없고 소박하며 중후한 탑.
서오층석탑 - 보물 133호
탑 아래 부분에 12지 신상이 조각, 윗부분은 8금강과 4천왕을 새겨 부처님법을 보호.
괘불대(掛佛臺)
운고각(雲故閣)
화엄사는 한국 33관음성지 중 제14호 사찰입니다.
점심 공양
화엄사 대웅전(大雄殿) - 보물 제299호
화엄사에서 가장 오래된 법당으로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조성되었으며 법신, 보신, 화신의 삼존불을 모심.
대웅전(大雄殿)
목조비로자나 삼신불 좌상 - 보물 제1548호
화엄사 경내의 모과나무
명부전(冥附殿) 내부
화엄사 각황전(覺皇殿) - 국보 제67호
우리나라 최대의 목조건물로 중앙에 거대한 부처님을 모시고 천정을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주변이 굽어지게 만듦.
각황전 내부
대웅전과 함께 화엄사의 주불전이며 정면 7칸, 측면 5칸의 다포계 중층 건물이다.
내부에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아미타불과 다보불 등 3여래(三如來)와 보현보살, 문수보살, 관음보살, 지적보살(知積菩薩) 등 4보살(四菩薩)을 봉안하고 있다.
각황전 앞 사자탑 - 보물 제300호
신라 문무왕 17년(677년)에 조성한 것으로 인간의 희노애락을 표현한 감로탑.
각황전 앞 석등 - 국보 제12호
높이 6.3m로 꽃잎 형태는 우담바라이며 8정도와 4성재를 표현한 국내 최고의 석등임.
나한전(羅漢殿) 내부
영전(影展) 내부
영전(影展)은 화엄사의 역대조사, 선사 , 대사들의 영정이 모셨던 전각입니다.
공양간으로 가시나요?
원통전(圓通殿) 내부
단풍나무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 국보 제35호
(현재 불사 중)
구충암 가는 길 (대나무 숲길)
구층암은 화엄사 대웅전 뒷편으로 10분정도 걸린다.
구충암 (九層庵)
구충암의 매력은 자연을 닮은 데 있다.
무엇 하나 자연을 가스르는 것이 없다.
요사채의 기둥은 단연 자연스러움이 으뜸이다.
모과나무를 다듬지 않고 있는그대로 가져다 썼다.
천불의 부처가 모셔진 천불보전 앞에 단아한 석등과 배례석 모과나무가 있다.
복원하지 못하고 듬성듬성 쎃아 놓은 신라 말기에 만들아진 것으로 보이는 3층석탑마저 자연스럽게 보인다.
구충암 모과기둥
구충암에는 자연을 거스르는 일이 없다.
방장교
계곡물이 흐르고...
맑은 물, 신선한 공기
천년의 자비와 미소가 숨쉬는 지리산 화엄사!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천 백락사 산사음악회 (0) | 2017.08.29 |
---|---|
담양 용흥사 (0) | 2017.08.03 |
삼척 장호항 2017 (0) | 2017.07.27 |
경북 포항 [2편] (0) | 2017.07.25 |
경북 포항 [1편] (0) | 2017.07.20 |